6. 고충증 (SPARGANOSIS)
고충증은 1881년 Scheube에 의해 일본 남자의 요도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1882년 Cobbold는 이 기생충을 Liqula mansoni라고 명명하였으며, 이후 만손열두조충의 근연 족인 Spirometra 속의 plerocercoid larva를 Sparganum이라고 통칭하게 되었습니다. 고충증은 인체의 장 외에 유충 상태로 기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만연 지역 내의 뱀, 개구리, 도마뱀 등에서 유충이 발견됩니다. 이 기생충은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에서 널리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1972년 조 등의 연구에서 74마리의 뱀에서 sparganum이 적출된 바 있습니다.
1) 형태
고충증의 유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크기: 유충의 크기는 보통 1020cm × 0.51.5cm로, 미세한 유충입니다. 때때로 50~70cm의 긴 충체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
형태적 특징: 유충은 회백색을 띠며, 평활하고 윤택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피에는 주름이 존재하여, 기생충의 생존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편절 없음: 고충증의 유충은 편절이 없으며, 생식기가 발육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2) 생활사
고충증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종숙주: 주요 종숙주는 개, 고양이, 여우 등입니다.
충란의 외계 배출: 성충이 외부로 충란을 배출합니다.
부화: 수중에서 충란이 부화하여 coracidium으로 발전합니다.
제1중간숙주: 물벼룩이 제1중간숙주 역할을 하며, coracidium이 물벼룩 내에서 원미충으로 발전합니다.
제2중간숙주: 제2중간숙주인 개구리나 뱀 내에서 Sparganum으로 발전합니다.
종숙주 감염: 종숙주가 제2중간숙주를 섭식하게 되면, Sparganum은 장벽을 관통하여 조직으로 이행하고 기생하게 됩니다.
3) 병리 및 증상
고충증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주요 병리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하조직 내 증상: 압통, 두통, 부종, 소양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염 부위에서의 염증 반응이 이러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비뇨기계 증상: 요통, 혈뇨, 빈뇨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유충이 비뇨기계에 기생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안와부 증상: 심한 동통, 자극, 유뇨, 부종, 안구 돌출 등의 증상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충이 안와에 기생하면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결막하 증상: 독혈증, 결절형성, 각막의 궤양, 혼탁 등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는 결막하에 유충이 기생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내장 기생 시: 조직 파괴 및 출혈로 인해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유충이 장기 내에서 성장하면서 심각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임상적 진단
고충증의 임상적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개인력 조사: 제2중간숙주인 뱀이나 개구리를 생식한 경험이 있는지 확인하여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감염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치료
고충증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외과적 방법: 유충의 외과적 적출이 현재 적용되는 유일한 치료법입니다. 이는 기생충이 조직 내에서 큰 덩어리로 존재할 때 필요합니다.
약물 치료: Procaine과 40% 에탄올을 2~4ml 주입하여 충체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충체를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6) 예방 및 관리
고충증의 예방을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오염된 식수 관리: 오염된 식수와 뱀, 개구리, 새 등의 생식을 금지해야 합니다. 이는 기생충의 전파를 예방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보건 교육: 지역 사회를 대상으로 한 보건 교육을 통해 고충증의 위험성과 예방 방법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육을 통해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고, 안전한 식수와 식품 관리를 강조해야 합니다.
7. 단방조충 (Echinococcus granulosus) - 위립조충
단방조충은 주로 목축업이 성행하는 지역, 예를 들어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이탈리아 등에서 발견됩니다. 이 기생충은 개와 같은 견치동물의 소장에 기생하며, 충란을 섭취함으로써 유충인 포충(hydatid cyst)이 기생하게 됩니다. 성충으로 성장하지 않고, 대신 유충 상태로 숙주 내에서 생존합니다.
1) Morphology
(1) 충란
단방조충의 충란은 크기가 약 30~36μm로, 구형이며 황갈색을 띱니다.
난각에는 방사상 줄무늬가 있어, 충란의 식별에 도움을 줍니다.
(2) 포충낭 (Hydatid Cyst)
포충낭은 두꺼운 포낭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포충액이 있습니다.
번식기에는 3~30개의 두절이 형성되며, 이는 포충낭의 번식 능력을 나타냅니다.
(3) 성충
성충의 크기는 약 3~6mm이며, 두절과 3개의 편절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태편절 내에는 500800개의 충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성충의 두절에는 4개의 흡반이 존재하며, 액취와 갈고리가 2850개가 배열되어 있습니다.
2) Life Cycle
단방조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기생부위: 주요 종숙주는 개, 여우, 늑대, 고양이 등의 소장입니다.
충란의 섭취: 종숙주가 충란을 섭취하게 됩니다.
소장에서의 부화: 충란은 소장에서 부화하여 육구유충으로 발전합니다.
장벽 관통: 육구유충은 장벽을 관통하여 혈류와 림프관을 통해 전신으로 운반됩니다.
포충의 형성: 포충은 주로 간 부위에 호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조직 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종숙주 감염: 감염된 종숙주가 이를 섭취하게 되면, 약 7주 후 소장에서 성충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수명: 성충의 수명은 약 5개월에 달합니다.
중간숙주: 중간숙주로는 사람, 원숭이, 양, 소, 말, 돼지, 낙타, 토끼 등이 있습니다.
3) 병리 및 증상
단방조충 감염으로 인한 주요 병리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직 손상: 포충낭의 발육 시 조직 손상 및 독성 작용으로 인해 간농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침입 부위에서의 혼합 감염으로 나타납니다.
종양 증가: 포충의 반응에 의해 복막, 늑막, 폐의 파열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병리적 변화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4) 진단
단방조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면역 및 혈청학적 진단: 포충액이나 성충의 추출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여 진단합니다.
X-ray 소견: X-ray를 통해 폐 포충증을 진단하며, 생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치료
외과적 수술: 단방조충의 치료는 주로 외과적 수술을 통해 포충낭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포충액 누출 주의: 수술 시 포충액의 누출에 주의해야 하며, 이는 과민증이나 새로운 병소 형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8. 다방조충 (Echinococcus multilocularis) - Hydatid Worm
다방조충은 1968년 일본에서 7세 소녀에서 처음으로 열대 다방포충병이 보고되었습니다. 이 기생충은 유럽, 아시아, 뉴질랜드, 남아메리카 및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발견됩니다.
1) 형태
다방포충낭: 크기는 약 1.2~3.5mm(평균 2mm)로, 단방조충보다 작습니다.
포충의 집합체: 보통 완두콩 크기보다 작은 셀 수 없는 낭포의 집합체로 나타납니다.
2) 생활사
다방조충의 생활사는 단방조충과 유사합니다:
중간숙주: 쥐, 작은 설치류, 사람, 원숭이 등이 중간숙주 역할을 합니다.
종숙주: 여우, 개(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종숙주), 고양이가 주요 종숙주입니다.
3) 병리 및 증상
다방조충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병리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직 손상: 뇌, 골수, 폐, 비장, 신장, 심장 등 여러 장기에 기생하면서, 표면을 자르면 벌집 모양의 구조가 나타납니다.
종양 발생: 포낭은 점차 덩어리처럼 종양을 발생시키며, 이는 주위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진단
다방조충의 진단 방법은 단방조충과 동일한 절차를 따릅니다. 주로 면역학적 검사와 이미징 기술을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9. 개조충 (Dipylidium caninum)
개조충은 주로 개벼룩, 개 이, 사람 벼룩 등을 중간숙주로 하여, 개, 고양이, 야생 육식동물의 소장에서 기생합니다. 어린아이는 우연히 벼룩을 섭취함으로써 감염되며, 장 내에서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1) 형태
길이: 개조충의 길이는 약 15~70cm에 이릅니다.
유충 형태: 유충은 유낭미충(cysticercoid) 형태로 존재합니다.
2) 증상
무증상: 대부분의 경우 감염이 무증상으로 진행됩니다.
소화기계 증상: 중감염 시 소화기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복통이나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진단
대변 검사: 대변 내에서 수태편절과 알주머니 충란을 관찰하여 감염 여부를 진단합니다. 이때 개조충의 편절 형태를 확인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