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무구조충 (Taenia saginata) - Beef Tapeworm
무구조충은 1675년 Wepfer에 의해 소의 근육에서 무구낭충이 관찰된 이후, 1782년 Goeze에 의해 Taenia saginata로 개명되었습니다. 1862년에는 Leukart가 소가 중간숙주임을 규명하였고, 1869년 Oliver는 소에서 얻은 낭충을 인체에 투여하여 성충을 획득하였습니다. 무구조충은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쇠고기를 많이 소비하는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유럽과 남아메리카에서 주로 발견되며, 우리나라에서는 1967년 제주도에서 주민 577명 중 38%가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당시 유구조충 감염률은 4.1%, 무구조충은 87.7%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1962년 농촌 주민의 3.6%가 감염되었고, 1971년 한국건강관리협회 조사에서는 1.9%, 1992년에는 0.06%로 감소하였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무구조충의 충란은 크기가 30~43μm로, 황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형태는 구형이며, 방사선상의 줄무늬가 특징적입니다.
충란 내에는 3쌍의 갈고리가 있는 육구유충(cysticercus) 내포되어 있습니다. 이 충란은 유구조충의 충란과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2) 무구낭미충 (Cysticercus bovis)
무구낭미충은 소에 기생하며, 크기는 6~10mm로 작은 난원형입니다. 형태는 투명한 유백색을 띠고 있습니다.
두절에는 4개의 흡반이 있으며, 돌출부(rostellum)와 소구(hooklet)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3) 성충
성충의 길이는 약 10~20m에 이르며, 때로는 25m까지 성장합니다. 이는 유구조충보다 크기에서 우세합니다.
두절은 1.5~2mm 크기의 사각형이며, 4개의 흡반이 존재합니다. 흡반에는 액취와 갈고리가 없습니다.
성숙편절에는 난소부엽이 없고, 전체 편절 수는 1,000~2,000개에 달합니다.
수태편절의 자궁측지는 15~20개가 있으며, 약 10만 개의 충란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Life Cycle
무구조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수태편절 배출: 성충이 수태편절을 배출하여 외부로 나가게 됩니다. 이 편절은 대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충란의 유리: 배출된 수태편절은 파열되어 충란이 유리됩니다. 이 충란은 사료에 오염되어 중간숙주인 소가 섭취하게 됩니다.
육구유충의 부화: 소의 장에서 육구유충이 부화하여 조직으로 이행하게 됩니다. 이 과정은 약 2개월이 소요됩니다.
무구낭미충 형성: 무구낭미충은 숙주가 섭취한 후, 낭액 속의 경부와 두절이 돌출하여 장벽에 고정됩니다.
편절 생산: 성충이 장에서 편절을 생산하게 되며, 자궁 내에서 충란을 배설합니다. 이 과정은 23개월 후에 이루어지며, 성충의 수명은 약 1020년입니다.
3) 병리 및 증상
무구조충 감염으로 인한 주요 병리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편절의 배출: 편절이 혼자서 항문 밖으로 배출될 경우, 이물감이나 항문 소양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기계적 자극: 큰 충체 덩어리의 기계적 자극으로 인해 장폐쇄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의 이동: 조충의 운동성이 활발하여 위나 담관으로 이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충수염: 편절이 충수돌기에 침입할 경우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사산물의 독성작용: 대사산물로 인해 설사, 복통, 소화 장애, 구토,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진단 및 예방
무구조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충란 검사: 충란은 집란 침전법을 통해 검사하지만, 충란으로는 종 감별이 불가능합니다.
수태편절 검사: 수태편절을 관찰하여 자궁측지 수를 확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Semichon’s aceto-carmine 염색을 응용하여 자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쇠고기의 낭미충 오염 검사: 쇠고기의 낭미충 오염 여부를 검사하여, 감염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조리 방법: 쇠고기를 완전히 익힌 후 섭취해야 하며, 냉동(-10℃에서 5일) 또는 57℃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충란을 사멸시킬 수 있습니다.
3. 왜소조충 (Hymenolepis nana) - Dwarf Tapeworm
왜소조충은 1845년 Dujardin에 의해 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1851년 Bilharz에 의해 인체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후 1887년 Grassi와 1892년 Rovelli가 이 기생충의 생활사를 규명하였으며, 중간숙주가 필요 없는 특징으로 인해 더욱 주목받았습니다. 왜소조충은 기생 조충 중에서 가장 작으며, 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감염율은 낮습니다. 한국에서는 1981년 건강관리협회 조사에서 0.4%의 감염률이 보고되었고, 1990년에는 0.01%로 감소하였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왜소조충의 충란은 크기가 약 3045μm × 4055μm입니다.
형태는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밝은 황갈색을 띱니다. 충란 내부에는 육구유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두 겹의 난각이 있으며, 외막과 내막 사이에는 4-8개의 초자양 극사가 존재하여, 이는 충란의 식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Adult
성충의 크기는 약 25~45mm × 1mm로 작고, 두절은 구형입니다.
성충은 4개의 흡반을 가지고 있으며, 액취와 갈고리(20~30개)가 있습니다.
편절의 수는 약 100200개 정도이며, 편절의 크기는 0.20.8mm입니다.
수태편절에는 80~180개의 충란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2) Life Cycle
왜소조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기생부위: 이 기생충은 주로 쥐의 소장에서 기생합니다.
충란의 경구섭취: 충란은 경구를 통해 섭취됩니다.
육구유충의 부화: 소장 내에서 충란이 유리되어 육구유충이 부화하게 됩니다.
장융모 침입: 육구유충은 장융모에 침입하여 발육의 낭미충이 됩니다. 이 낭미충은 장강 내로 나오게 됩니다.
성충의 생성: 약 2주 후에 성충이 산출되며, 이 과정에서 배출된 충란은 변과 함께 외부로 배출됩니다.
자가감염: 부화된 충란이 장섬모에 직접 침입하여 자가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병리 및 증상
왜소조충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주요 병리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계적 자극과 대사산물의 독성 작용: 이 두 가지 요인으로 인해 증상이 발생합니다.
소화기 장애: 복통, 설사, 구토, 공복감, 식욕 감퇴 등의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전신 증상: 항문의 소양감, 불면증, 경련, 신경증상, 빈혈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 증상: 기침, 객담, 객혈, 천식 등 호흡기 관련 증상도 보고됩니다.
특이증상: 쌀뜨물오줌(chyluria)이 관찰되며, 어린이에서 감염율이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4) 진단
왜소조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대변 검사: 대변 내에서 충란을 검사하기 위해 집란법을 사용합니다.
충란 감별: 왜소조충과 쥐조충의 충란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초자양 극사를 확인하여 감별합니다.
5) 예방
왜소조충의 전파는 직접적이며, 단일 숙주가 감염되는 특성 때문에 예방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예방 조치가 중요합니다:
어린이 교육: 어린이에게 위생 습관을 습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생적인 환경 조성: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고, 식품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전파 매개체 관리: 쥐와 같은 전파 매개체의 관리를 강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