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8장 조충류 -1

by great tip 2024. 10. 19.
반응형

조충류 개요

 

1) 일반적인 특징

조충류는 편형동물문(Phylum Platyhelminthes)에 속하는 기생충으로, 두 가지 주요 분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의엽류(Order Pseudophyllidea)이며, 두 번째는 원엽류(또는 편엽류, Order Cyclophyllidea)입니다. 이 기생충들은 성충일 때 척추동물의 장관에 기생하며, 유충은 무척추동물의 조직 안에서 생존합니다.

조충류는 편절(proglottides) 또는 체절로 나뉘며, 자웅동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조충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광절열두조충 (Diphyllobothrium latum): 세계적으로 가장 긴 조충 중 하나입니다.

무구조충 (Taenia saginata): 주로 소에서 발견됩니다.

유구조충 (Taenia solium): 돼지와 관련이 깊으며,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왜소조충 (Hymenolepis nana): 인간 및 쥐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쥐조충 (Hymenolepis diminuta): 쥐와 다른 설치류에서 발견됩니다.

단방조충 (Echinococcus granulosus): 개와 같은 동물에서 발견되며, 인간에게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방조충 (Echinococcus multilocularis): 주로 설치류와 개에서 발견되며, 유사한 질병을 유발합니다.

 

 

 

2) 구조와 형태

조충은 일반적으로 두절(head), 경부(neck), 편절(seg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수 미터에서 10 미터까지 다양합니다. 전체 충체를 전횡분체(whole strobila)라고 하며, 연결된 일부분을 횡분체(proglottid)라고 합니다.

 

(1) 두절 (Scolex)

조충의 두절에는 흡반(sucker)이나 흡구(bothrium)가 존재하여 숙주의 장벽에 부착하는 역할을 합니다.

광절열두조충 (D. latum): 두 개의 길쭉한 흡구(bothria)가 있습니다.

무구조충 (T. saginata): 4개의 컵 모양의 흡반(sucking disc)을 가지고 있습니다.

유구조충 (T. solium): 흡반과 키틴질 훅(hook)이 달린 액취(rostellum)가 있습니다.

 

(2) 경부 (Neck)

경부는 조충의 가장 유약한 부분이지만 왕성한 세포 분열이 이루어집니다. 이 부분이 숙주의 장벽에 부착되면 지속적으로 새로운 편절을 생산합니다.

 

(3) 편절 (Proglottid)

편절은 충체의 각 마디로, 영양물의 흡수 및 생식에 주로 관여합니다. 생식기의 발육 정도에 따라 미성숙편절, 성숙편절, 수태편절로 구분합니다.

미성숙편절: 신생된 편절로 생식기 발육이 불충분합니다.

성숙편절: 성숙하여 1-2개의 암수 생식기를 가지고 충란을 생산합니다.

수태편절: 충란으로 가득 차 있으며, 원래의 생식기관이 위축하거나 소실됩니다. 말단 편절은 수시로 떨어져 외부로 배출됩니다.

 

(4) 외피 (Integument)

조충의 표면에는 많은 융모(villi)가 존재하여, 이를 통해 숙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5) 소화계 (Digestive Tract)

조충의 소화계는 퇴화되어 소실되며, 외부에서 숙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생존합니다.

 

(6) 배설계 (Excretory System)

조충의 배설계는 화염세포(flame cells)와 모세관, 집합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 신경계 (Nervous System)

조충의 신경계는 두부에 신경절(ganglia)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8) 생식계 (Reproductive System)

조충은 자웅동체이며, 각 편절의 중앙선에 위치한 생식기관에서 많은 자궁측지를 형성합니다. 이는 종의 동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3) Life Cycle

조충의 기생 부위는 종숙주의 소장이며, 왜소조충을 제외한 모든 종은 중간숙주를 필요로 합니다.

 

(1) 의엽조충

의엽조충은 두 단계의 중간숙주를 필요로 합니다:

1중간숙주: 수서 갑각류(: 새우, 게 등).

2중간숙주: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입니다.

성숙한 충란이 외부로 배출되고, coracidium이 제1중간숙주 내로 침입하여 procercoid로 성장한 후, 2중간숙주 내에서 plerocercoid(감염형)로 발전합니다.

 

(2) 원엽조충

원엽조충은 비교적 간단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충란이 중간숙주에 침입하게 되면 육구유충이 탈각하여 장벽을 뚫고 혈행성으로 조직 이행을 하게 됩니다. 충체의 종에 따라 낭미충, 유낭미충, 공미충, 포충의 형태로 성장하며, 각 유충을 보유한 조직을 종숙주가 섭취하면 유충이 소장에서 성충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1. 유구조충 (Taenia solium) - Pork Tapeworm

유구조충은 1782Goeze에 의해 무구조충과 구별되었으며, 1855Kuchenmeister1856Leuckart에 의해 그 생활사가 규명되었습니다. 이 기생충은 인수공통기생충(zoonotic parasite)으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돼지고기를 많이 소비하는 슬라브족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됩니다. 중국, 한국, 동남아시아, 인도, 남아메리카 등에서도 발견되며, 한국에서는 낭미충증 환자가 다수 보고되고 있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유구조충의 충란은 크기가 약 31~43μm, 황갈색의 구형입니다. 난각에는 방사상 줄무늬가 존재하며, 이는 충란의 식별에 도움을 줍니다.

충란 내에는 3쌍의 갈고리가 있는 육구유충(cysticercus)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충란은 무구조충의 충란과 구별이 어렵습니다.

 

 

(2) 유구낭미충 (Cysticercus cellulosae)

유구낭미충은 크기가 5~20mm, 난원형입니다. 형태는 투명한 유백색을 띠며, 성숙한 육구유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포낭 내부에는 흡반과 갈고리가 달린 두절이 존재하여, 기생충의 부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성충

성충의 길이는 약 28m에 이르며, 편절의 수는 8001,000개에 달합니다.

두절의 크기는 약 1mm, 4개의 흡반이 있으며, 액취와 갈고리가 22~33개가 2열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수태편절의 자궁측지는 7~10개로, 각 수태편절에는 약 35만 개의 충란이 충만하여 있습니다.

 

 

 

2) Life Cycle

유구조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수태편절 배출: 성충이 수태편절을 배출하며, 이는 대변을 통해 외부로 나가게 됩니다.

충란의 섭취: 중간숙주인 돼지가 이 충란을 섭취하게 됩니다.

육구유충의 부화: 소장에서 육구유충으로 부화한 후, 조직으로 이행하게 됩니다.

유구낭미충의 형성: 8~10주 후 유구낭미충이 형성됩니다.

인체 감염: 감염된 돼지를 섭취한 인간의 소장에서 유구낭미충이 성충으로 성장하게 되며, 이 과정은 약 8~10주가 소요됩니다. 성충은 약 20년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3) 병리 및 증상

유구조충 감염으로 나타나는 주요 병리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충 감염: 복부 불쾌감, 설사, 메스꺼움, 구토, 식욕 항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유구낭미충증 (Cysticercosis): 감염 부위, , 기간, 숙주 반응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국소 반응: 감염 부위에서 삼출성 반응, 세균 침윤, 섬유조직의 증가, 석회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증상: 뇌 낭미충증이 발생할 경우, 경련, 간질, 마비, 두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부 낭미충증: 안검 결막염, 홍체염, 맥락막 위축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유구조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충란 및 수태편절 검사: 충란으로는 종 감별이 불가능하므로, 수태편절을 검사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수태편절의 압평 표본을 통해 자궁측지를 관찰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Semichon’s aceto-carmine 염색을 응용합니다.

항문으로 편절이 기어나오는 현상은 드물지만, 발생할 경우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낭충증 검사: 유구낭미충증의 경우, 생검(biopsy), 면역학적 검사, X-ray 소견, MRI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