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원충류 일반
원충(Protozoa)
원충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동물로, 모든 원충은 단일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단일세포의 단위는 고등동물의 여러 특수한 세포들이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원충은 진핵성 단세포 생물로, 이들은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단일 세포 내에서 수행합니다.
원충의 대부분은 자유 생활을 하지만, 일부는 기생생활을 영위합니다. 이러한 기생 생활은 특정 환경에서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분류
원충은 여러 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족충류(Rhizopoda)
편모충류(Mastigophora)
섬모충류(Ciliata)
포자충류(Sporozoa)
형태(morphology): 원충은 세포질과 핵으로 구분됩니다.
(1) 세포질
**외형질(ectoplasm)**은 gel상으로 되어 있어 운동, 음식물 섭취, 배설, 호흡, 방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여기에는 위족, 섬모, 편모, 파동막 등의 운동기관이 포함됩니다.
**내형질(endoplasm)**은 유동적인 sol상으로, 핵, 식공포, 크로마틴 양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축공포는 삼투압 조절 및 배설 물질의 배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핵
핵의 구조와 염색질, 핵소체의 배열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원충의 종을 구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II. 근족충류 (Rhizopoda)
근족충류는 위족(pseudopodium)을 통해 운동하고, 음식물 섭취를 합니다. 이들은 아메바과(Family Entamoebidae)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아메바라고 불립니다.
이제 인체 기생 아메바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각 아메바의 학명, 형태, 기생 부위, 병원성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메바 종류 학명 형태 기생 부위 병원성
이질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 영양형, 포낭형 맹장, 대장, 뇌, 폐 병원성
대장아메바 Entamoeba coli 영양형, 포낭형 맹장, 대장 비병원성
왜소아메바 Endolimax nana 영양형, 포낭형 맹장, 대장 비병원성
요드아메바 Iodamoeba butschlii 영양형, 포낭형 맹장, 대장 비병원성
이핵아메바 Dientamoeba fragilis 영양형 맹장, 대장 비병원성
잇몸아메바 Entamoeba gingivalis 영양형 구강, 치근 비병원성
파울러아메바 Naegleria fowleri 영양형 중추신경계 병원성
가시아메바 Acanthamoeba species 영양형, 포낭형 중추신경계 병원성
이질아메바 (Entamoeba histolytica)
1. 역사적 배경
먼저, 이질아메바의 발견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875년, 러시아의 한 연구자인 Losch가 이질 환자의 대변에서 영양형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1903년, Schaudinn이 이 아메바를 Entamoeba histolytica라는 이름으로 명명하게 됩니다. 이는 기생충학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2. 병원성 아메바
이제 이 아메바가 어떤 질병을 일으키는지 살펴보겠습니다. Entamoeba histolytica는 아메바성 이질과 간 농양을 유발하며, 전 세계 인구의 약 10%가 이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한국에서 5%에서 10%의 높은 감염률을 보였으나, 현재는 많이 감소했습니다. 이 기생충은 전형적인 수인성 전염병으로, 포낭형 상태에서 cyst carriers에 의해 전파됩니다. 위생 상태가 열악한 지역에서는 이 기생충이 만연할 수 있으며, 여행자 설사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3. 분포 지역
다음으로, 이질아메바의 분포 지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기생충은 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특히 아프리카, 중남미,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에서 감염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위생 환경이 좋지 않아 감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형태
이제 형태학적인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질아메바는 영양형(trophozoite)과 포낭형(cyst) 두 가지 형태를 가집니다. 이 사이에는 유약영양형과 피포전기형이 포함됩니다.
(1) 포낭형 (Cyst Form)
포낭형은 5~20μm 크기로 구형 또는 난형입니다. 이 형태는 적혈구가 없고, 두꺼운 포낭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낭벽의 굴절성이 강해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세포질에는 chromatoidal bodies와 glycogen vacuoles가 포함되어 있으며, 핵은 밝은 색과 어두운 색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염색 방법으로는 Lugol's iodine과 Iron-hematoxylin이 있으며, 각각의 염색 방식에 따라 세포질과 핵의 색상이 달라집니다.
(2) 영양형 (Trophozoite)
영양형은 10~60μm 크기이며, 초자상으로 투명한 외세포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형태는 적혈구와 세균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핵은 중심성 핵소체와 유염색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피포전기형 (Procyst)
피포전기형은 영양형에서 포낭형으로 변화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움직임이 둔화되고, 세포질이 축소되며 둥글게 변형됩니다.
(4) 유약영양형 (Metacyst)
유약영양형은 포낭형이 소화관으로 들어가면서 형성됩니다. 소장 상부에서 탈낭 과정을 거치며, 처음 생성되는 초기 영양형이 바로 이 유약영양형입니다. 이들은 대장으로 이동하여 정착하고 분열해 나갑니다. 이 형태는 직경이 작고 조직을 침범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일차 병소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