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폐흡충 (Paragonimus westermani) - Lung Fluke
폐흡충은 1877년 Westerman에 의해 호랑이의 폐에서 처음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1899년 Braun이 이 기생충을 Paragonimus westermani라고 명명하였고, 1915년 Nakagawa와 1918년 Kobayashi가 제1, 2 중간숙주를 밝히게 됩니다. 이 기생충은 극동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중국, 만주, 태국, 베트남, 인도, 말레이시아, 솔로몬, 사모아, 일본, 대만, 한국 등에서 발견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허균(1610)의 동의보감에서 폐충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폐흡충은 함경북도 일부를 제외한 전국에서 발견되며, 특히 전남과 제주도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1959년 Walton 등이 실시한 조사에서는 9,711명을 대상으로 한 피내반응 검사에서 12.9%가 양성으로 나타났고, 1965년부터 1967년까지의 조사에서는 37,465명 중 7.5%의 감염률이 확인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감염률이 많이 감소한 추세입니다.
1) Morphology
(1) 충란
크기는 약 85μm∼120μm × 45μm∼60μm이며, 형태는 난원형으로 얇고 황갈색을 띱니다.
두꺼운 난각이 있으며, 후단이 약간 비후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쪽에는 납작한 난개가 존재하며, 비자충포장란 상태로 배출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1개의 난세포와 다수의 난황세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성충
성충의 크기는 7.5mm∼16.0mm × 4mm∼6mm입니다.
담홍색의 충체 표면은 매끄럽고, 전단부에 구흡반과 충체의 중앙부에 복흡반이 위치합니다.
충체의 후반에는 좌우 양쪽에 고환이 있으며, 복흡반은 왼쪽에 6분지된 난소, 오른쪽 하단에는 rosette형 자궁이 있습니다.
2) Life Cycle
폐흡충의 기생부위는 주로 폐의 담관입니다. 폐흡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충란의 배출: 성충이 폐에서 산란한 충란은 객담 또는 대변과 함께 외부로 배출됩니다.
미라시디움으로의 발육: 외부 수중에서 충란이 미라시디움(miracidium)으로 발달하여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에 침입합니다.
발달 과정: 미라시디움은 sporocyst로 발전한 후, redia로 변화하며, 짧은 고리가 달린 cercaria가 유출됩니다.
제2중간숙주 침입: 제2중간숙주인 가재(crayfish)나 게(crab)에 침입하여 아가미, 내장 또는 근육 내에 피포되어 피낭유충(metacercaria)으로 발전합니다.
인체 감염: 피낭유충을 포함한 담수어를 사람이 섭취하면, 십이지장에서 탈낭이 이루어지고, 유충은 십이지장벽을 통과하여 복강 내로 나옵니다.
폐로의 이동: 유충은 횡경막을 관통하여 흉막강을 지나 폐에 침입하여 성충으로 발육합니다. 성충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60∼90일이 소요됩니다.
성충의 수명: 성충의 수명은 56년 정도이며, 성충은 하루에 10,00020,000개의 충란을 산란합니다.
3) 병리 및 증상
폐흡충 감염의 병리와 증상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흡기 증상: 마른 기침이나 피가 섞인 갈색의 객담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흉통과 흉막염, 객혈, 미열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면역 반응: 숙주의 알레르기성 반응, 충체의 기계적 작용, 대사산물에 의한 자극 등으로 인해 세포의 침윤과 결체조직이 증가합니다.
병변 형성: 화농성, 괴양성 또는 결핵성 병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석회 침착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백혈구성 및 육아종양 조직반응이 선행됩니다.
이소폐흡충증: 충체가 정상적인 이동 경로를 이탈하여 발생하는 이소감염은 감염자의 약 45%에서 나타납니다. 이소감염은 뇌, 간, 비장, 신장, 장관, 복강, 대망, 늑막강 등 다양한 장기에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뇌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 경우 뇌 실질 출혈, 간질 증상, 신경 증상, 반신불수, 전신 마비, 실어증 등의 심각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진단
폐흡충의 진단은 객담이나 대변에서 충란을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객담 검사
특이한 쇠녹빛깔의 객담을 직접 도말하여 검경합니다.
또한, 5% NaOH 용액에 객담을 소화시킨 후 집란법을 응용하여 충란을 확인합니다.
(2) 대변 검사
집란법을 활용하여 대변에서 충란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약 40∼70% 정도의 감염환자에서 충란이 발견됩니다.
특히 소아의 경우 객담 배출이 어려우므로 대변 검사도 함께 실시해야 합니다.
(3) 피내반응 검사
이소적 기생에서 응용되며, VBS 항원을 이용하여 보조적 진단을 실시합니다.
(4) 보체결합반응
치료 후 6개월이 지나면 음전환되므로 진단적 의의가 있습니다. ELISA법과 동일한 원리로 작용합니다.
(5) X-선 소견
X-선 검사 결과 폐의 병변을 확인하고, 폐흡충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3. 요꼬가와흡충 (Metagonimus yokogawai) - Intestinal Fluke
요꼬가와흡충은 1911년 Yokogawa에 의해 은어에서 피낭유충이 발견된 것으로 시작됩니다. 1912년 Katsurada가 이 기생충을 Heterophyes yokogawai로 명명하였고, 같은 해에 Yokogawa가 이를 Metagonimus yokogawai로 개명하였습니다. 1916년 Muto는 제1중간숙주로 다슬기를 규명하였습니다. 요꼬가와흡충은 극동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중국, 일본, 대만, 시베리아, 인도네시아, 스페인, 한국 등에서 발견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동, 제주도, 밀양, 대구, 강원도 등지에서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건강관리협회에서 1992년에 실시한 조사에서는 51,556명을 대상으로 하여 0.3%의 감염률이 확인되었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요꼬가와흡충의 충란은 크기가 약 28μm∼30μm × 16μm∼18μm입니다.
형태는 간흡충과 유사하며, 담갈색을 띱니다. 난각은 2중 윤곽을 가지고 있으며, 난개가 존재합니다.
충란 내에는 미라시디움(miracidium)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간흡충의 충란과 비교할 때, 난개와 난각의 연결부위에는 돌출부가 없으며, 크기는 간흡충란보다 약간 큰 느낌을 주고 이형흡충란과 유사한 특징을 보입니다.
(2) 성충
성충의 크기는 평균 1.2mm로, 작은 흡충입니다.
형태는 난원형이며, 표피에는 소극이 있습니다. 전반부에는 구흡반이 위치하고, 충체의 1/3 지점 오른쪽 부위에는 복흡반(genital sucker)이 있습니다.
요꼬가와흡충은 자웅동체(hermaphroditism)로, 방광의 좌우에 각각 1개씩 있는 2개의 고환이 위치합니다. 난소는 구형으로 중앙에 위치하며, 자궁은 충체 중앙에 있습니다.
2) Life Cycle
요꼬가와흡충의 기생부위는 소장입니다.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충란의 배출: 성충이 소장에서 산란한 충란은 외부로 배출됩니다.
미라시디움으로의 발육: 충란은 수중에서 부화하여 미라시디움(miracidium)으로 발전합니다.
제1중간숙주 침입: 미라시디움은 제1중간숙주인 다슬기(Semisulcospira sp.)에 침입합니다. 여기서 sporocyst로 변형되고, 이후 redia로 발전합니다.
cercaria의 유출: redia에서 발생한 cercaria가 다슬기로부터 배출됩니다.
제2중간숙주 침입: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 특히 은어에 침입하여 아가미, 내장 또는 근육 내에 피포되어 피낭유충(metacercaria)으로 발전합니다.
인체 감염: 피낭유충이 포함된 담수어를 사람이 섭취하면, 십이지장에서 탈낭이 이루어집니다.
성충으로의 성숙: 유충은 십이지장벽을 통과하여 복강 내로 나옵니다. 횡경막을 관통하여 흉막강을 지나 폐에 침입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성충으로 발육합니다. 성충으로 성장하는 데에는 약 6-8일이 소요되며, 10일 후에는 산란을 시작합니다.
EPDPF: 성충은 하루에 약 280개의 충란을 산란하며, 성충의 수명은 약 2년입니다.
3) 병리 및 증상
요꼬가와흡충 감염으로 인한 병리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장 점막 침입: 요꼬가와흡충은 소장의 점막에 침입함으로써 기계적 장애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 증상: 감염된 환자는 설사, 복통, 혈변, 탈력감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호산구의 증가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혈관을 통한 확산: 충란이 장간막정맥이나 림프관을 통해 심장, 뇌, 척수 등으로 운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직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4) 진단
요꼬가와흡충의 진단은 주로 대변검사를 통해 충란을 발견함으로써 이루어집니다. 주요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변 검사
대변에서 충란을 발견하는 것이 주된 진단 방법으로, 침전법을 활용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간흡충, 이형흡충 등의 충란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2) 성충 확인
이형흡충과의 감별 확인을 위해 성충을 구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통해 감별할 수 있습니다.
요꼬가와흡충은 그 독특한 생활사와 기생 방식 덕분에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기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기생충학 및 의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감염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