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흡충 (Clonorchis sinensis) - Chinese Liver Fluke
간흡충은 1874년 McConnel에 의해 인도의 중국인 목공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습니다. 이후 1875년 Cobbold가 이 기생충을 Distoma sinensis라고 명명하였고, 1907년 Looss가 Clonorchis sinensis로 개명하였습니다. 1911년에는 Kobayashi가 한국에서 제2중간숙주를 발견하였고, 1917년 Muto가 제1중간숙주를 증명하였습니다. 현재 간흡충은 대변 검사로 진단되는 윤충 감염증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기생충성 간질환입니다. 전체 장내 기생충 환자의 약 80%가 간흡충에 감염되어 있으며, 담관 내 결석과 함께 담관암의 중요한 선행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남부 지역에서 담관암의 비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4례의 담관암 환자 중 21례(39%)가 간흡충을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1) 지리적 분포
간흡충은 극동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 베트남, 대만, 한국에서 감염률이 높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요 5대강 유역인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에서 주로 발견됩니다. 1965년부터 1969년까지의 조사 결과, 5대강 유역에서 국민학교 372,843명을 대상으로 한 피내반응 검사에서 9.3%가 양성으로 나타났습니다. 1969년에는 40,518명이 대변 검사에서 4.7%의 충란 양성을 보였고, 1981년 조사에서는 35,018명 중 2.6%의 감염률이 확인되었습니다. 1992년에는 51,556명을 조사하여 2.2%의 감염률이 보고되었습니다.
2) Morphology
(1) 충란
크기는 약 27.3∼35.1μm × 11.7∼19.5μm이며, 평균적으로 29μm × 16μm입니다.
형태는 깨알모양으로 연한 황갈색을 띠며, 두꺼운 난각과 난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난개와 난각의 연결 부위에는 뚜렷한 돌출부(shouldering)가 있으며, 난개 반대쪽에는 난각후단돌출(abopercular knob)이 존재합니다.
충란 내에는 이미 성숙한 미라시디움(miracidium)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유미유충 (cercaria)
유미유충은 얇은 막에 둘러싸인 긴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구흡반 측후방에 1쌍의 안점(eye spot)이 있습니다.
피낭유충은 낭내에서 6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관찰됩니다.
(3) 피낭유충 (metacercaria)
피낭유충은 타원형이며 크기는 135μm∼145μm × 90μm∼100μm입니다.
피낭유충 내에는 구흡반과 복흡반이 뚜렷하게 보이며, 때때로 회선운동이 관찰됩니다.
(4) 성충 (adult worm)
성충의 크기는 10mm∼25mm × 3mm∼5mm입니다.
형태는 버드나무잎 모양으로 길쭉하고 납작하며, 매끈하고 표피가시는 없습니다.
소화관은 짧은 식도로 시작하여 두 개의 맹관으로 길게 뻗어 있습니다.
흡반은 전단부에 구흡반이 있으며, 충체의 1/4∼1/3 전방에 복흡반이 존재합니다.
생식계통은 자웅동체로, 고환은 분엽상이며 전방 고환은 4분엽, 후방 고환은 5분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환은 수정관과 저정낭으로 이어지며, 생식공으로 연결됩니다. 난소와 수정낭(seminal receptacle)은 자궁과 고환 사이에 위치하고, 충체의 좌우에는 많은 과립상으로 보이는 난황소(vitelline)가 존재합니다.
3) Life Cycle
간흡충의 기생부위는 간의 담관이며, 특히 좌엽에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간흡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충란을 산란: 성충이 담관에서 충란을 배출합니다.
간 담도를 통한 배출: 충란은 간 담도를 통하여 장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됩니다.
제1중간숙주: 담수에서 제1중간숙주인 왜우렁(Bulimus)에게 섭취됩니다. 이 과정에서 미라시디움(miracidium)은 sporocyst로 변형되고, 이후 redia와 cercaria로 발달합니다.
탈출: cercaria는 왜우렁에서 탈출하여 제2중간숙주인 담수어에 접촉하여 침입합니다.
피낭유충: 담수어 내에서 피낭유충(metacercaria)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인체 감염: 감염된 담수어를 섭취한 후, 십이지장에서 탈낭이 이루어지고, 총담관을 통해 담도의 말단부에서 성충으로 발육합니다. 이 과정은 약 1개월이 소요됩니다.
충란에서 성충까지의 전 생활사: 전체 과정은 약 3개월이 걸리며, 성충의 수명은 15∼20년 정도로 추정됩니다.
일일 산란량: 성충은 하루에 4,000~7,000개의 충란을 산란합니다.
4) 병리 및 증상
간흡충 감염의 병리와 증상은 충체의 수, 감염 기간, 숙주의 저항력, 반복 감염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담관의 확대 및 비후증식: 충체 및 충란에 의한 담관의 확대는 상복부 불쾌감, 소화불량,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폐쇄성 황달: 담관염이 발생하면 담도 폐쇄로 인해 담즙의 배출이 어려워지고, 담관 상피세포의 탈락 및 증식이 유발되어 악성화될 수 있습니다.
담관의 섬유화 및 경화증: 2차성 세균 감염 시 담관벽의 주위 결체조직 증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세포의 변성 및 위축: 드물게 간세포의 변성과 위축이 관찰되며, 간흡충증의 합병증으로 원발성 간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진단
간흡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대변 및 담즙 내에서 충란 발견: 특히 요꼬가와흡충이나 이형흡충의 충란과 구별해야 합니다.
(1) Stool test
집란침전법(Formalin ether sedimentation test, MGL)이나 cellophane thick smear method를 사용하여 충란을 확인합니다.
(2) ELISA method
급성 감염 시 및 치료 후 추적 검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비교적 낮습니다.
(3) 피내반응검사
위양성, 위음성 및 교차반응에 주의해야 합니다.
(4) 담관 내용물 검사
담즙을 원심 분리하여 검경합니다.
6) 예방 및 관리
간흡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담수어의 생식 금지: 간흡충의 확실한 예방책은 담수어를 생식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이 기생충이 담수어 내에서 피낭유충(metacercaria)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물고기를 섭취하기 전에 반드시 익혀서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냉동 및 소금 절임의 한계: 일반적으로 냉동이나 소금에 절이는 방법이 기생충을 사멸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방법으로 간흡충을 쉽게 사멸시키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며, 철저한 조리가 필요합니다.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 퇴치: 간흡충의 제1중간숙주인 쇠우렁(Bulimus)의 퇴치는 감염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지만, 실효를 거두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 생물의 서식지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염 방지: 분변에 의한 강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는 간흡충 감염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위생적인 방법으로 분변을 처리하고, 강물 오염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기적인 민물고기 검사: 민물고기의 감염 정도를 체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감염된 민물고기를 조기에 발견하고, 해당 지역의 감염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7) 치료
간흡충증의 치료에는 특정 약물이 효과적입니다:
Praziquantel: 이 약물은 간흡충증에 대한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Praziquantel은 기생충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기생충을 죽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의사의 처방 준수: Praziquantel의 사용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약제의 부작용이나 알레르기 반응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치료 후에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추가적인 치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