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장 선충류 -9

by great tip 2024. 10. 4.
반응형

유극악구충 (Gnathostoma spinigerum)

유극악구충은 주로 육식동물의 위에 기생하는 기생충으로, 1836Owen에 의해 호랑이의 위벽에서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 기생충은 인수공통감염증을 일으키며, 유충이 인체에서 피부 내로 또는 내장으로 이행하는 두 가지 주요 형태가 있습니다. 유극악구충은 태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호주 등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보고된 사례가 없습니다.

 

 

(1) 형태

크기: 유극악구충의 성충은 암컷이 25-30mm, 수컷은 20-25mm의 크기를 지닙니다.

충란: 충란은 약 60-70μm의 긴 타원형으로, 기생충의 생식적 특성을 반영합니다.

유충 및 성충 머리: 머리 부분은 팽대부로 넓어져 있으며, 팽대부 표면에는 피극(spines)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충체 전반부의 표면은 비교적 큰 피극으로 덮여 있어, 기생충의 생명 주기와 기생 방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컷의 꼬리: 수컷의 꼬리 부분에는 융기된 감각유두가 존재하여, 이를 통해 환경을 감지하고 기생에 필요한 행동을 조절합니다.

 

 

(2) 병리 및 증상

유극악구충의 감염은 피하조직과 내장 침범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하조직에 병변이 발생하며, 비교적 크고 긴 조직 손상이 관찰됩니다. 주변에는 호산구성 염증이 동반됩니다.

피하 근육에 자주 침범하여 심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강점막, 인후두, 소장, 항문, 자궁, , 신장, , 안구, 대뇌나 뇌막 등 중추신경계에도 침입하여, 뇌염이나 뇌막염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진단

유극악구충의 진단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병소에서 생검을 통해 충체를 적출하여 확인합니다.

수술 전 진단으로는 피내반응 검사와 혈청학적 검사가 활용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감염 여부를 판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간 카필라리아 (Capillaria hepatica)

간 카필라리아는 쥐의 선충류로, 주로 간의 실질 조직에 기생합니다. 이 기생충의 감염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충란이 인체에 침입하면 장에서 부화하여 간 표면으로 침입하게 됩니다. 이때 간은 침식되어 간 조직의 섬유화, 즉 간경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진단

간 카필라리아의 진단은 주로 간 생검이나 부검을 통해 조직 표본을 현미경적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C. hepatica: 이 종은 인간에서 간 카필라리증을 유발합니다.

C. aerophila: 이 종은 인간에서 폐 카필라리증을 일으킵니다.

간 카필라리아는 우리나라에서 서울 시내 쥐의 88%에서 발견된 바 있으며, 주요 숙주로는 쥐, , 고양이, 토끼 등이 있습니다. 특히 소아에서 감염이 많이 발생하며, 진단 시 간 조직의 생검이나 부검이 필요합니다.

 

 

 

 

동양안충 (Thelazia callipaeda)

동양안충은 개, 고양이, 쥐와 같은 동물의 결막낭과 눈물샘에 주로 기생하는 기생충입니다. 이 기생충은 인수공통기생충으로, 인도,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 등지에서 발견됩니다. 사람에게도 눈물샘과 결막낭에 기생할 수 있습니다.

 

 

(1) 형태

동양안충은 백색 또는 유백색의 가늘고 긴 선충으로, 크기는 약 5~16mm × 1mm입니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은 기생충의 생리적 특성을 반영하며, 감염 경로와 증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생활사

동양안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중간숙주: 초파리과의 초파리가 중간숙주로 작용합니다.

감염 과정: 초파리가 종숙주의 눈을 핥을 때 충란이 이동하게 되며, 초파리의 소화관에서 발육하여 유충으로 성장합니다. 이후 유충은 중간숙주의 두부에 도달하게 됩니다.

감염된 초파리가 종숙주 눈물을 핥을 때 유충이 감염됩니다.

 

 

(3) 증상

동양안충 감염의 초기 단계에서는 유충이 눈물샘에 잠복하게 되며,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후기에는 성충이 되어 결막낭으로 이동하면서 이물감, 충혈, 가려움증 등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충체를 제거함으로써 소실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