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6장 선충류 -7

by great tip 2024. 9. 28.
반응형

2) 말레이사상충 (Brugia malayi)

 

1. 역사적 배경

말레이사상충은 1927Lichtenstein에 의해 처음으로 microfilaria가 발견되었습니다. 같은 해, Brugi는 이 기생충을 신종으로 분류하고 Filaria malayi라고 명명하였습니다. 이후 1958년에 BruckleyBrugia 속을 신설하고, 이 기생충을 Brugia malayi로 재명명하였습니다. 말레이사상충은 중국 남부, 일본, 한국,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평원 지역에서는 Mansonia 모기가 있는 연안을 따라 주로 발견됩니다. Anopheles 모기가 매개체로 작용할 경우, 도시 및 근교 지역에서도 분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27년에 윤이 처음으로 말레이사상충을 보고하였으며, 서 등(1968, 1975)의 조사에서는 전국 주민 32,673명 중 784명이 microfilaria 양성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제주도, 경북, 서해안의 섬 지역에서 높은 감염률이 관찰되었습니다. 말레이사상충의 자충은 야간정기출혈성(nocturnal periodicity) 특성을 가지고 있어, 특정 시간대에 혈액 내에서 발견됩니다.

 

 

2. 형태

(1) Microfilaria

말레이사상충의 microfilaria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크기: 170235μm, 성숙한 상태에서 관찰됩니다.

형태: 배설공(excretory pore), 배설세포(excretory cell), G세포(G cell), 항문(anal pore) 등의 위치와 형태적 특징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2) Adult Worm

성충은 다음과 같은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암놈: 크기는 4455mm × 130170μm입니다.

수놈: 크기는 1424mm × 7080μm입니다.

형태: 두부에 작은 유두(papillae)가 있으며, 수놈의 꼬리 끝에는 2개의 교미침이 존재합니다. 체 말단에는 한두 개의 미핵(caudal nucleus)이 구형의 팽대부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 Life Cycle

말레이사상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기생부위: 주로 사지의 림프관에 기생합니다.

중간숙주: 이 기생충은 Aedes togoi, Anopheles sinensis, Mansonia 등의 모기를 중간숙주로 이용합니다.

종숙주: 사람입니다.

생활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간숙주인 모기가 흡혈할 때 microfilaria가 체내로 침입합니다.

감염된 유충은 림프절에 도착하여 약 1년 동안 발육하여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성충은 microfilaria를 산출하는데, 이들이 림프관 벽을 뚫고 주위의 혈관으로 이행하게 됩니다.

낮 시간 동안에는 주로 내장, 특히 폐조직 등에 머무르며, 밤에는 말초혈액에 나타나는 야간출현성을 보입니다.

말레이사상충의 수명은 약 15년 정도일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는 아직 확인된 바는 없습니다.

 

 

4. 병리 및 증상

말레이사상충 감염은 급성과 만성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급성기 증상

고열, 두통, 근육통, 무력감, 피로감 등이 나타납니다.

림프관염과 림프선염이 발생하며, 두드러기성 발진과 호산구 증가증, 자충혈증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2) 만성기 증상

림프절 종대, 림프선이나 림프관 부종, 세포침윤, 경색 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결국 상피증(elephantiasis)으로 이어지며, 말레이사상충에 의해 발생하는 상피증은 주로 사지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5. 진단

말레이사상충 감염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1) 혈액도말검사

말초혈액에서 microfilaria의 검출이 중요합니다. 야간출현성 특성 때문에 오후 9시에서 오전 2시 사이에 채혈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후층 도말을 통해 Giemsa, Wright, Walker’s 염색을 하여 검경을 진행합니다.

 

(2) 자충형태 감별

Brugia 속은 초막(sheath)이 특징적이며, Wuchereria bancrofti와의 감별이 중요합니다. W. bancrofti는 미단에 공간이 있지만, B. malayi는 미단에 공간이 없고 과립이 두 개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임상증상

상피증, 림프염, 유미뇨 등의 임상증상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질병의 진행 상태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로아사상충 (Loa loa) - African Eye Worm

로아사상충, 또는 아프리카 눈 벌레(African Eye Worm)는 로아증(Loasis)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기생충은 여러 주요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1770년에 몽긴(Mongin)에 의해 처음으로 흑인 여성의 눈에서 발견되었습니다. 1905년에는 스틸스(Stiles)Loa 속을 창설하였으며, 이는 콩고 지방어로 ""을 의미합니다. 로아사상충은 주로 서부 및 중앙 아프리카에 국한된 지역에서 유행하며, 중간숙주는 침파리(Chrysops fly), 즉 사슴파리입니다.

 

 

(1) 형태

1) Microfilaria

크기: 로아사상충의 microfilaria는 약 250-300μm × 6.0-8.5μm의 크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주간출현성: 이 기생충은 낮 동안 주로 혈액에서 발견되는 주간출현성(diurnal periodicity)을 보입니다.

 

2) Adult Worm

크기: 성충의 크기는 암컷이 약 50-70mm × 0.5mm, 수놈은 30-34mm × 0.4mm입니다.

형태: 로아사상충의 성충은 실처럼 원통형이며, 주로 피하조직에 기생합니다. 수놈의 미단은 복측으로 굽어져 있으며, 비교적 좁은 미익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8쌍의 항문주위 유두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2) 병리 및 증상

로아사상충의 성충은 피하조직을 통해 사지 등으로 이행할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약 1인치(2.5cm)2분 만에 이동하는 속도로 이루어집니다. 이 기생충이 안구에 감염될 경우,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적으로는 출혈, 통증, 그리고 안검의 종창이 있으며, 시력 약화와 같은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차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담마진성 피부염이나 건초와 같은 증상도 관찰됩니다. 이와 함께 약 12-70%의 환자에서 호산구 증가증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로아사상충은 안구 결막에 자주 나타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3) 진단

로아사상충의 진단은 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환부에서 외과 수술을 통해 충체를 적출하고, 결막 내에서 성충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둘째, 주간에 채혈을 통해 말초 혈액에서 자충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로아사상충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예방

로아사상충의 예방을 위해서는 중간숙주인 Chrysops fly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모기의 활동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로아사상충의 전파를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모기 방지제를 사용하거나, 모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줄이는 등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