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생충학 총론 후반부에 대해 적고자 합니다.
6. 기생충의 감염 및 전파경로
1) 감염원
감염원이란? 새로운 숙주에게 감염을 성립시킬 수 있는 감염형의 충란, 포낭 또는 유충 등을 총칭합니다. 기생충의 감염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토양(Soil): 토양 매개성 기생감염의 원인 (충란, 포낭, 유충)
•물(Water): 수인성 기생감염의 원인 (유충, 포낭, 충란)
•식물(Plant): 식물 매개성 기생감염의 원인 (충란, 유충, 포낭)
•절지동물: 동물 매개성 기생감염 (유충, 포자체)
•보충동물(가축 및 야생동물): 동물 매개성 기생감염 (유충, 포자체)
•인간(Human): 기생충을 보유하고 있는 cyst carrier (보충자) → 자가감염 또는 충란, 유충, 포낭 등을 몸 밖으로 배설하여 타인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기타(Other): 환자의 옷, 침구, 집기 등에서도 감염원이 될 수 있습니다.
2) 기생충의 감염경로
기생충의 감염경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경구감염(mouth): 자충포장란, 유충 및 매개곤충의 경구적 감염. 회충, 편충, 이질아메바, 요충 등 대부분의 기생충이 해당됩니다.
•경피감염(skin): 유충에 의한 피부 침입, 매개곤충의 흡혈, 구충, 일본주혈흡충 등이 포함됩니다.
•접촉감염: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 (성교, 입맞춤). 생식기관의 질 트리코모나스(주로 여성 감염).
•태반감염: 선천적 감염으로 Toxoplasma, 섬모충 등이 해당됩니다.
•수혈감염: Filaria 사상충, Malarid 원충, Trypanosoma, Leishmania, Toxoplasma 등이 포함됩니다.
•결막감염: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에 의한 감염입니다.
3) 탈출경로(Routes of Escape)
기생충이 숙주로부터 이탈하는 경로는 기생부위에 따라 달라지며, 다음과 같습니다:
•입(Mouth): A에서 B에게 입맞춤을 통해 탈출 (치은트리코모나스, 치은아메바).
•장(intestine), 간(liver): 소화기관에 기생하는 종은 대변을 통해 탈출합니다 (예: 회충).
•질(vagina), 방광(bladder), 신장(kidney): 비뇨생식계에 기생하는 종은 소변이나 질 분비물을 통해 탈출합니다 (질 트리코모나스, 빌할쯔주혈흡충).
•폐(Lung): 호흡기는 객담(sputum)을 통해 탈출합니다.
•피부(Skin): 피부 궤양이나 상처를 통해 탈출합니다 (옴, 회선사상충).
•림프선 및 혈액(lymph gland, blood): 흡혈성 곤충에 의해 기계적 탈출이 발생합니다 (말라리아, 말레이사상충).
•기타: 태반이나 젖을 통해 탈출할 수 있으며, 숙주가 죽거나 다른 동물에게 먹힘으로써 외부에 노출됩니다.
7. 기생충 진단
1) 외부 기생충 진단 (임상 진단)
원인 충제를 직접 체표에서 채취하며, 일시적 기생충의 경우 흡혈 후 숙주로부터 이탈하여 진단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2) 내부 기생충 진단 (검사실적 진단)
각종 가검물에서 성충, 충란, 유충, 낭충 등이 발견되고 동정될 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배양이나 동물 접종을 통해 확실한 진단을 내리기도 합니다:
•충체검사: 성충의 체외 배출 시 육안 검사.
•대변검사법: 도말법, 집란법, 배양법 등을 통해 충란을 계산합니다.
•객담검사: 폐흡충의 충란 및 회충 분선충의 유충을 검사합니다.
•혈액검사: 혈액도말, 호산구 검사, 혈청 및 면역학적 검사를 포함합니다.
•요검사: 질편모충, 방광주혈흡충, 거대신충 등을 검사합니다.
•생검: 선모충, 회선사상충, 간모세선충 등을 검사합니다.
•체액검사 등도 실시됩니다.
8. 기생충의 예방 및 관리
1) 관리(Control)
기생충의 발생을 억제하고 저지하여 집단 내 감염율을 경감시키는 수단입니다. 다음과 같은 관리 방법이 있습니다 :
•환경적 관리(Environmental Control)
•화학적 관리(Chemical Control): 살충제, 살파제 등.
•생물학적 관리(Biological Control): 천적, 경쟁자 등을 이용합니다.
2) 예방(Prevention)
기생충 질환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여 집단 내 개개인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사회적 생활 조건, 연령, 종족의 거주조건, 인구밀도, 문화정도, 풍습, 식생활, 종교, 사상, 교육 정도, 교통, 보건교육시설, 주민의 예방사업에 대한 관심도 등이 예방 성과에 차이를 보입니다.
3) 예방 의학상의 문제와 퇴치법
① 감염원의 처리: 환자, 보균자를 조기 발견하여 투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막대한 예산과 노력이 요구됩니다.
② 전파인자 처리: 감염원에서 숙주에게 전파되는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가열소독법: 주로 섬모충, 무구조충(낭충), 원충류를 예방하며, 음식물을 100℃에서 10초간 가열합니다.
•냉동소독법: 육류 내의 충체를 멸살하며, 무구조충의 낭미충은 -9.44℃ 이하에서 6일 보관하여 동사시킵니다.
③ 숙주의 건강관리 및 교육: 감염원에 접근하여 감염 위협에 노출되는 것을 제한합니다.
•소극적: 개인의 위생관리를 강조합니다.
•적극적: 식품 및 오물 처리의 위생적 관리와 매개체 서식장소에 살충제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9. 주요 인체 기생충의 종류
1) 원생동물 - 원충류 (Protozoa): 체제가 가장 간단한 동물로, 4강(class)으로 분류됩니다.
•원생동물은 그리스어의 protos(처음의) + zoon(동물)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근족충류(Rhizopoda): 이질아메바, 대장아메바, 기타 (치은, 왜소, 요드, 이핵).
•편모충류(Mastigophora): 람블편모충, 질편모충, 장세모편모충, 주혈편모충.
•섬모충류(Ciliata): 대장섬모충.
•포자충류(Sorozoa): 말라리아, 톡소포자충, 폐포자충, 와포자충.
•후생생물: 윤충류 (Helminthes): 벌레에 해당합니다.
•선형동물(Nemathelminthes): 선충류(nematoda) (회충, 요충, 편충, 구충 등).
•편형동물(Platyhelminthes):
조충류(Cestoda): 유구조충, 무구조충, 광절열두조충 등.
흡충류 (trematoda): 간흡충, 페흡충,간질,요꼬가와흡충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