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 – Pinworm
요충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기생충으로서, 서양에서는 Hippocrates 시대부터 기록되었고, 동양에서는 황제 시대부터 그 존재가 알려져 있습니다. 1758년 Linnaeus는 요충을 Ascaris 속에 분류하였고, 1803년에는 Rudolphi가 Oxyuris vermicularis로 분류하였습니다. 이후 1853년 Leach가 Enterobius 속을 창설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9년에 서 등이 8,5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자의 감염률이 41.3%, 여자의 감염률이 57.9%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한국건강관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1981년에는 12%, 1992년에는 0.9%로 감소한 바 있습니다. 요충은 Pinworm 또는 seatworm이라고도 불리며, 사람에게 흔한 접촉감염성 윤충류입니다. 이 기생충은 사람과 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받으며, 온대 및 한대 지역에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합니다. 특히 환경이 열악한 집단 생활 시설과 어린이들에게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1) Morphology
(1) 충란 (Egg)
요충의 충란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크기: 약 5060μm × 2032μm입니다.
형태: 감씨 모양으로, 한 면은 평평하고 다른 면은 뾰족합니다.
난각: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층은 chitin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충란 내 유충: 충란 내에는 이미 유충이 포함되어 있어 자충포장란 상태입니다. 대변 내에서 상실분열기(morula stage)로 관찰될 수 있습니다.
(2) 성충 (Adult Worm)
성충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기: 암컷은 813mm × 0.30.5mm, 수컷은 25mm × 0.10.2mm의 크기를 가집니다.
충체: 희고 가느다란 형태이며, 두부에는 특이한 두익(cephalic alae)이 존재합니다.
식도: 식도는 간상형으로 되어 있으며, 체장의 1/5∼1/4를 차지합니다. 후식도구가 발달해 있습니다.
수놈: 1개의 고환과 1개의 교미침을 가지며, 꼬리가 말려 있습니다.
암놈: 음문(vagina)은 충체의 전방 1/3 부위에 위치하며, 꼬리는 뾰족하게 되어 있습니다. 자궁 내에는 충란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2) Life Cycle
요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기생부위: 요충은 주로 맹장, 충수돌기, 결장 등에서 기생합니다.
감염형: 충란이 자충포장란 형태로 감염됩니다.
생활사:
충란이 경구적으로 섭취됩니다.
소장에서 부화하여 제1기 유충이 됩니다.
맹장과 결장에서 성충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성숙: 성숙한 암놈은 약 11,000개의 충란을 보유하며, 산란기에는 항문 주위에 충란을 산란합니다.
감염 후: 감염 후 약 45일이 지나면 성충으로 성숙하게 됩니다.
수명: 요충의 수명은 약 11일에서 35일 정도입니다.
Retrofection (역행감염): 항문 주위나 회음부에서 산란된 충란이 부화하여 직접 상행 미입 후 재감염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병리와 증상
요충 감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합니다:
소장 점막 부착: 요충은 소장 점막에 부착하여 독소를 분비하고 흡혈합니다.
호산구 증가증: 초기에는 일시적인 호산구 증가증이 보일 수 있습니다.
감염 정도에 따른 증상:
소수 감염일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수 감염 시에는 구충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며, 여기에는 소화장애와 빈혈이 포함됩니다.
4) 진단
요충 감염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부유법: 대변 내에서 충란을 발견하기 위해 부유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구충 및 동양모양선충의 충란과의 감별에 주의해야 합니다.
유충 관찰: 배양법을 통해 유충을 관찰하며, 구충 및 분선충과의 구별에 유의해야 합니다.
5) 치료
요충 감염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감염자의 전 가족, 단체생활에서의 전 구성원이 동시에 치료해야 합니다.
치료는 3주 간격으로 3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해야 하며, 1회만 치료한 경우 짧은 시간 내에 감염률이 재상승할 수 있습니다.
사용되는 약물로는 Mebendazole 100mg을 1회 또는 2~3회 반복 투여하며, Albendazole 400mg을 1회 복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치료 후에는 침구 및 의류 소독과 주변 환경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6) 예방
요충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 위생: 몸의 청결을 유지하고, 손톱을 깎고 손을 자주 씻으며 목욕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환경 청결 유지: 내의, 침대, 침구를 정기적으로 세탁하고 방안과 좌변기를 청소해야 합니다.
음식 청결 유지: 음식이 먼지에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감염자가 조리한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행동 청결 유지: 어린이들의 손빨기 습관을 교정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선충 (Strongyloides stercoralis)
분선충은 1876년에 Normand가 월남 파병 중 프랑스 병사의 설사변에서 처음 발견하였습니다. 이후 Bavay는 이 기생충을 장외(Anguillula stercoralis)와 장내(Anguillula intestinalis)로 구분하였고, 1879년 Grassi와 1884년 Leuckart는 세대교번에 따른 상이형 형태를 증명하였습니다. 분선충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온대 지역에서는 산발적으로 존재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조에 의해 여러 인체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Egg)
분선충의 충란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집니다:
크기: 약 5060μm × 3035μm로, 난원형입니다.
난각: 얇은 난각을 가지고 있으며, 구충란 및 동양모양선충란과 유사합니다.
산란: 하루에 20-30개의 충란을 배출하며, 자충포장란 상태로 산란 후 즉시 간상유충으로 부화합니다. 대변 내에서는 간상유충이 발견되며, 충란이나 성충은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2) 성충 (Adult Worm)
성충의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암놈: 기생세대의 암놈은 약 2.2mm × 30~75μm 크기로, 섬세한 사상형입니다. 식도는 충체의 전방 1/3에서 2/5까지 차지하며, 길쭉하고 원통형입니다. 뒤쪽에는 장과 생식기, 자궁에는 8∼12개의 충란이 배열되어 있습니다.
간상유충: 이 유충은 짧은 구강 cavity와 곤봉형 식도를 가지고 있으며, 생식원기(genital primordium)가 큽니다.
사상유충: 원주형 식도를 가지며, 꼬리에는 "V"자 모양의 뚜렷한 파열부가 있어 구충의 사상유충과 유사하지만 약간 작습니다.
2) Life Cycle
분선충의 생활사는 크게 두 가지 세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기생세대 (Parasitic Generation)
대변을 통해 간상유충이 배출되어 토양에서 감염력 있는 사상유충으로 변태합니다.
숙주의 피부를 뚫고 사상유충이 감염되면, 폐로 이동하여 기관지를 거쳐 소장으로 들어갑니다.
암놈은 단성생식(parthenogenesis)을 통해 장 점막 내에 산란하게 됩니다.
충란은 자충포장란으로 부화하여 유충이 되며, 장 점막에서 장공내로 나와 간상유충으로 발육 후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2) 자유 생활세대 (Free-Living Generation)
환경이 적당할 경우, 탈피하여 암놈과 수놈이 구별되는 성충으로 성숙합니다.
암수의 교미가 이루어진 후, 암놈으로부터 산란된 충란이 흙 속에서 부화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간상유충이 사상유충으로 변태하고 다시 성충이 되는 자유생활기가 반복됩니다.
환경 조건이 불리한 경우에는 사상유충으로 변태하여 숙주의 피부를 뚫고 침입하게 됩니다.
3) 병리 및 증상
분선충 감염으로 인해 나타나는 병리학적 변화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피적 침입: 사상유충이 피부를 침입할 경우, 해당 부위에 병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 이행: 유충이 폐로 이행할 경우 폐렴이 유발되며, 기침과 객담 내 사상유충 발견이 가능합니다.
장관 기생: 분선충이 장관에 기생하면서 기계적 장애, 화학적 조직 용해, 천공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Cochin-china diarrhea'로 알려진 설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재감염 및 내부 자가감염: 재감염이나 내부 자가감염이 발생할 경우 증세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비뇨기계 침입: 비뇨기계에 침입할 경우 소변에서 간상유충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4) 진단
분선충 감염의 진단은 여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대변 검사: 대변에서 간상유충이 발견되면, 구충이나 동양모양선충 유충과 감별해야 합니다.
설사변 내 자충포장란: 설사변에서 자충포장란이 발견될 수 있으나 이는 극히 드문 경우입니다.
십이지장액 검사: 분선충이 의심될 경우, 십이지장액 검사를 통해 진단을 보강할 수 있습니다.
중증일 경우: 중증 감염 시에는 객담에서도 유충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배양법: 사상유충 배양을 통해 확실한 감별을 실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