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 구충 (Necator americanus)
아메리카 구충은 1902년에 Stiles에 의해 신종으로 기재된 기생충으로, 일반적으로 New World hookworm 또는 American hookwor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미국의 남부, 중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호주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전국적으로 발견되지만, 듀비니 구충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수입니다.
1) 형태
충란: 아메리카 구충의 충란은 듀비니 구충의 충란과 감별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충: 성충은 듀비니 구충보다 약간 작으며, 수놈의 크기는 약 7∼10mm × 0.3mm, 암놈은 9∼11mm × 0.4mm입니다.
전방의 두부는 충제의 반대쪽으로 굴곡져 있습니다.
구강낭은 듀비니 구충보다 작고, 두 쌍의 반월형 절판(cutting plate)이 존재합니다.
수컷의 교접낭의 배측늑조(costa dorsalis)는 처음부터 둘로 갈라지며, 말단까지 계속 둘로 분지되어 있습니다. 교미침은 2개가 존재합니다.
2) Life Cycle
아메리카 구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충란: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충란이 부화하게 됩니다. 보통 24-48시간 이내에 유충이 부화합니다.
유충 성장: 부화한 유충은 간상유충으로 성장한 뒤, 사상유충으로 변태하게 됩니다.
감염 경로: 이 기생충은 인체에 경구 또는 경피로 침입할 수 있습니다. 발육 과정은 듀비니 구충과 유사합니다.
산란: 성체가 되면 하루에 약 5,000개의 알을 산란하며, 감염 지속 기간은 4-5년입니다.
3) 병리 및 증상
아메리카 구충의 감염 증상은 듀비니 구충과 유사하나 대체로 경미합니다. 듀비니 구충은 25마리 이상 감염되었을 때 임상 증상이 발현되지만, 아메리카 구충은 150마리 이상 감염되었을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 실혈량은 듀비니 구충의 약 1/5 정도에 해당합니다.
개구충 (Ancylostoma caninum)
개구충은 주로 개의 장에 기생하는 구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에 익산 지역에서 개의 40% 감염률이 보고된 바 있습니다. 1981년에는 전국 개에서 8.0%, 고양이에서 3.0%의 감염률이 발견되었습니다. 1950년에는 Wilder가 망막아세포종 환자의 적출 안구에서 유충을 발견하였고, 1951년에는 Witenberg가 인체에서 성충을 발견했습니다.
형태: 개구충의 두부에는 3쌍의 복측 구상치를 수용하는 크고 넓은 구강낭이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듀비니 구충과 비슷하여 감별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유충체내이행증 (Larva migrans)
유충체내이행증은 사람에게 기생하지 않는 기생충의 유충이 인체에 침입하여 정상적인 생활사를 마치지 못하고 유충 상태로 각 기관을 돌아다니며 발생하는 일련의 임상 증후군입니다. 사람이 우연히 숙주(accidental host)가 될 때 발생하며, 호적숙주라도 부적당한 조건이 있으면 숙주의 체내를 이행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병리학적 증상은 유충의 침입 부위, 수, 숙주의 감수성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유충 피내이행증 (Cutaneous larva migrans)
고양이 구충, 브라질 구충(A. braziliense), 개구충(A. caninum) 등의 사상유충이 사람의 피부에 침입할 경우, 심한 소양증, 발적, 구진이 일어나고 2차적인 세균 감염으로 화농성 병소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유충 내장이행증 (Visceral larva migrans)
개회충(Toxocara canis), 고양이 회충(Toxocara cati) 등의 유충이 인체의 심장, 간, 폐, 뇌와 같은 기관으로 침입하여 호산구의 증가, 발열, 간종창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동양모양선충 (Trichostrongylus orientalis)
동양모양선충은 1889년 Ogata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913년 Jimbo가 Trichostrongylus orientalis로 명명하였습니다. 이 기생충은 주로 동양 지역에 분포하며, 일본, 대만, 중국, 한국, 말레이시아 등에서 발견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와 70년대에 약 20% 전후의 감염률을 보였으나, 1981년에는 0.22%, 1992년에는 0.004%로 감소한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Trichostrongylus 속은 전 세계적으로 32종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1) Morphology
(1) 충란 (Egg)
동양모양선충의 충란은 구충란과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 충란의 크기는 약 90~95μm × 47μm로, 장타원형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충란보다 약 1.5배 크고, 한쪽 끝이 뾰족하며 비대칭적입니다. 난각은 얇은 키틴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란 내에는 많은 난세포가 포도알처럼 존재합니다. 대변 내에서 상실분열기(morula stage) 상태인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성충 (Black scour worm)
동양모양선충의 성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크기: 수놈은 3.8∼4.8mm × 0.07∼0.08mm, 암놈은 4.9∼6.7mm × 0.075∼0.087mm입니다.
구강낭: 구강낭은 없으며, 3개의 유두(papillae)를 갖고 있습니다.
암놈: 음문(vagina)은 충체 후방 1/5 부위에 위치하며, 자궁에는 10~20개의 충란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수놈: 꼬리 쪽에 교접낭이 존재하여 교접에 사용됩니다.
2) Life Cycle
동양모양선충의 생활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충란의 외계 배출: 성체가 충란을 배출하여 환경으로 방출됩니다.
부화: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간상유충이 부화합니다.
탈피: 유충은 3∼4일 이내에 두 번 탈피하여 제3기 사상유충(감염형)으로 변태합니다.
감염 경로: 인체에 경구로 감염되며, 피부를 뚫는 힘이 미약하여 경피 감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발육: 위장을 거쳐 소장에서 기생하며, 감염 후 25일이 지나면 성충으로 성숙하게 됩니다.
3) 병리와 증상
동양모양선충은 소장 점막에 부착하여 독소를 분비하며 흡혈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감염 초기에는 일시적인 호산구 증가증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소수의 감염일 경우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다수 감염 시에는 구충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여기에는 소화장애와 빈혈 등이 포함됩니다.
4) 진단
동양모양선충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부유법: 대변 내에서 충란을 발견하기 위해 부유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분선충, 구충, 동양모양선충의 충란을 구별하는 데 유의해야 합니다.
유충 관찰: 배양법을 통해 유충을 관찰할 수 있으며, 구충 및 분선충과 같은 유충과의 구별에 유의해야 합니다. 유충의 형태와 크기를 비교하여 정확한 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