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회충 (Toxocara canis) 및 고양이회충 (Toxocara cati)
개회충과 고양이회충은 내장유충이행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주로 발견되며, 특히 18개월에서 8세 사이의 어린이들에게 빈발합니다. 감염원은 개와 고양이, 그리고 기타 보유 동물에서 기생충 감염형 충란을 통해 발생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체 기생 사례가 200건 이상 보고되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문헌상으로 보고된 사례는 없습니다.
1) 형태 및 생활사
(1) 형태 (Morphology)
충란: 개회충과 고양이회충의 충란은 약 75-85μm 크기로, 타원형입니다. 이 충란은 환경에서 매우 저항력이 강하여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성충: 성충의 크기는 암컷이 6-8cm, 수컷은 4-5cm로, 일반적으로 백색을 띱니다. 이들의 특징적인 구조물 중 하나는 경부(cervical alae)로, 이는 기생충이 숙주의 장에 부착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생활사 (Life Cycle)
숙주: 개와 고양이가 주요 숙주입니다. 이들 숙주에서 충란이 산란되며, 이 충란은 비자충포장란으로 토양에 존재하게 됩니다.
충란 감염: 토양에서 감염된 충란이 다른 개나 고양이에 의해 섭취됩니다. 이 충란은 소장에서 부화하여 유충이 됩니다.
유충의 이행: 부화된 유충은 혈관벽을 뚫고 간으로 이동합니다. 이후 유충은 폐포와 기관지를 거쳐 인두와 식도로 이동한 후 다시 소장으로 돌아가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사람 (비정상 숙주): 인간이 충란에 감염되면, 소장에서 부화한 유충은 비정상적인 경로를 거쳐 여러 장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2) 병리 및 증상
회충의 병리학적 변화는 주로 현미경적 수준에서 관찰됩니다. 유충 주위에는 호산구, 림프구, 유상피세포, 그리고 이물성 거대세포가 존재하여 육아종성 병변을 형성합니다. 유충이 이행하는 부위에서는 병소가 발생하며, 심한 간실질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harcot-Leyden crystal이 출현하게 됩니다.
병리학적 특징으로는 현저한 호산구 증가증, 간 종대, 그리고 폐렴이 있으며, 전신 감염이 발생할 경우 폐, 중추신경계, 눈, 신장 등 다양한 장기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3) 역학
개회충과 고양이회충의 감염은 주로 개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며, 온대 지역에서 어린이들에게 특히 빈발합니다. 감염원은 오염된 흙, 애완동물의 털, 그리고 유충의 섭취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어린이들은 위생 관리가 미흡하여 감염의 위험이 높습니다.
4) 진단
회충 감염의 진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증상으로는 간 비대, 호산구 증가, 그리고 gamma-globulin 증가가 있으며, 이를 통해 진단의 단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원면역톡신법: 이 방법을 통해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면역전기영동법: 이 방법은 특정 단백질의 변화와 관련된 감염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간생검: 필요한 경우, 간 생검을 통해 병리학적인 변화를 직접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돼지회충 (Ascaris suum)
돼지회충은 주로 돼지의 소장에 기생하며, 세계 각 지역에서 고루 분포하고 있습니다. 이 기생충은 돼지의 소화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사람회충(Ascaris lumbricoides)과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생물학적으로는 큰 차이가 있으며, 돼지회충은 사람회충보다 약간 더 큰 편입니다. 이로 인해 사람에게 교차감염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한국에서는 돼지에서 5-15%의 감염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1) 형태 및 생활사
형태 (Morphology)
충란: 돼지회충의 충란은 약 75-85μm 크기로 타원형입니다.
성충: 성충의 경우 암컷은 6-8cm, 수컷은 4-5cm로, 일반적으로 담홍색을 띱니다. 이들의 특징적인 구조물 중 하나는 경부(cervical alae)입니다.
생활사 (Life Cycle)
숙주: 돼지가 주요 숙주입니다. 돼지의 장에서 충란이 산란되며, 충란은 비자충포장란 형태로 토양에 존재하게 됩니다.
충란 감염: 감염된 충란이 소장에서 부화하게 되며, 유충이 혈관벽을 뚫고 간으로 이동합니다.
유충의 이동: 유충은 폐포, 기관지, 인두, 식도를 거쳐 소장에 도달하여 성충으로 성장합니다.
교차감염: 돼지회충은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여러 장기로 이행할 수 있습니다.
3. Anisakis species (고래회충)
Anisakis는 Ascaridea 상과에 속하는 선충으로, 주로 고래, 돌고래, 물개, 그리고 실광어와 같은 해양 포유동물에서 기생합니다. 주요 종으로는 고래회충(A. simplex)과 향유고래회충(A. physeteris) 등이 있습니다.
감염증 (Anisakiasis)
Anisakis 유충에 의해 인체 감염이 발생하며, 이를 Anisakiasis라고 합니다. 네덜란드와 일본 등에서 인체 기생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1966년에 해선어류에서 Anisakis가 검출되었고, 1970년에는 환자의 편도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습니다.
중간숙주: Anisakis는 제1중간숙주로 바다 새우류와 유사난바다곤쟁이를 가지고 있으며, 제2중간숙주로는 해산어류(예: 명태, 대구, 갈치, 청어, 연어, 고등어, 삼치, 오징어, 낙지, 참조기, 꽁치, 멸치 등)가 있습니다.
1) Morphology
성충: 성충은 담홍색이며, 암컷은 5-13cm, 수컷은 8-20cm입니다.
유충: 인체에서 발견되는 유충은 2-3mm × 0.3-0.5mm 크기로, 매우 가늘고 실 모양입니다. 전단에는 천치(borning tooth)와 3개의 입술이 있으며, 꼬리 부분에는 mucron이라는 작은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습니다. 식도는 근육성으로 되어 있으며, 장관에는 줄세포(renett cell)가 위치합니다. 주로 물고기 내장 표면에서 발견됩니다.
3) 인체 감염
Anisakis 유충은 제2중간숙주인 해산어류를 섭취할 때 감염됩니다. 한국에서는 붕장어, 오징어, 조기, 방어, 광어 등의 해산어류를 생식할 때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생선이 살아 있을 때는 주로 생선의 내장에 제한적으로 기생하지만, 생선이 죽은 후에는 근육으로 이동하여 유충이 발견될 수 있습니다.
4) 병리 및 증상
Anisakis 감염은 경구적 섭취를 통해 발생하며, 유충이 위장 점막에 침입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호산구성 육아종이 형성되며, 병소의 중앙에는 충체가 관찰됩니다.
급성 증상: 해수어를 생식한 지 1~12시간 후에 상복부 통증과 구토가 발생합니다.
만성 증상: 1~2주 후에는 육아종이나 농양이 발생하여 증상이 나타납니다.
(1) 봉와직염형 (Phlegmon-formation type): 급성 감염 시 관찰되며, 장의 두터워진 장벽 내에 충체가 존재하고, 부종 및 심한 호산구 침윤이 나타납니다.
(2) 농양 형성형 (Abscess-formation type): 유충의 변성으로 인해 많은 호산구, 림프구 및 중성구로 구성된 농양이 발생합니다.
(3) 농양 육아종형 (Abscess granuloma-formation type): 약 6개월 경과 후, 림프구 침윤이 심한 특징을 보입니다.
(4) 육아종형 (Granulation formation type): 병변이 만성화됨에 따라 육아조직이 크게 발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