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parasite)이란?
어원: para = 곁(side) / sitos = 먹는 것(eat)
기생충은 다른 생물체의 체표나 체내에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서식하며,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받는 생물체입니다. 기생충은 독립적으로 생명 유지가 불가능하고, 반드시 다른 종류의 생물체에 의존해야 합니다.
숙주(host)
기생충에게 영양분과 피신처를 제공하는 생물체입니다.
기생충학(parasitology)
기생충학이란? : 기생충 및 기생충과 숙주 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인체 기생충학(Human parasitology)
원생동물: 원충류(근족충류, 편모충류, 포자충류, 섬모충류)
후생동물: 윤충류(선충류, 흡충류, 조충류)
1. 기생충학의 역사
1) 서양
17세기 중엽:
몇 가지 외부 및 내부 기생충이 일부 알려졌으며,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물체로 인식되었습니다. 그러나 종교적 영향을 받아 자연 발생설의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못해 기생충에 대한 이해가 제한적이었습니다.
Linne:
“기생충은 우연히 섭취된 자연생활생물에서 유래한다.”
Redi:
“모든 생물은 암수에 의해 생겨나며 친자관계(Parenthood)가 있다.” → 자연 발생설을 부인하고 많은 기생충을 발견했습니다. Fasciola(흡충류)를 발견하였으며, 그 생활사는 후대에 밝혀졌습니다.
Leeuwenhoek:
현미경을 발명한 인물로, 가시적 기생충뿐만 아니라 미세한 기생충(원충류)을 밝혀냈습니다.
Rudolphi:
1850년까지 여러 신종을 명명하고, 그들의 생활사를 규명했으며, 중간숙주 및 매개체의 역할을 밝혔습니다. 실험적 해명을 통해 기생충학의 기초를 다졌습니다.
Manson:
모기 체내에서 ‘Bancrofts filarial worm’를 발견하였고, 제자들이 모기와 말라리아 원충 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했습니다. 이후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구조책을 발전시켰습니다.
2) 우리나라
고려시대(1202년): 이질(이질아메바)에 관한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 세종 2년(1420년): 말라리아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허준(1610년): '동의보감'에서 기생충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Mills & Suzuki(1911), Kobayshi(일본): 한국인의 체내 기생충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1960년: 각 의과대학의 기생충 교수 및 연구자들이 ‘대한 기생충 협회’를 설립했습니다.
1964년 4월 20일: 한국기생충박멸협회가 새롭게 출범하였고, 1986년에는 한국건강관리협회로 새로운 출발을 하였습니다.
2. 기생충과 숙주 간의 상호관계
1) 숙주의 종류
중간숙주(intermediate host): 유충기나 무성생식기를 경과하는 존재입니다.
예시: 제1중간숙주(1st intermediate host), 제2중간숙주(2nd intermediate host)
종숙주(final host): 성충기나 유성생식기를 경과합니다.
2) 기생충의 감염경로
입(mouth): 구충, 회충, 요충, 편충 등.
피부(skin): 구충의 유충, 주혈흡충 등.
혈액(blood): 말라리아, 사상충, 파동편모충 등.
모체감염(transplacental infection): 말라리아, 톡소포자충 등.
비뇨생식기: 트리코모나스 등.
3) 기생충 감염의 영향
영양 손실, 자극이나 염증, 기계적 장애, 2차 감염, 알레르기 등.
3. 기생충 명명법
동물계의 계통 분류:
문(phylum), 강(class), 목(order), 과(family), 속(genus), 종(species)
기생충의 명명
1758년 Linnaeus가 확립한 이명법의 원칙에 따릅니다.
학명(Scientific name)과 속명(Common name)으로 구분됩니다.
[예시]
Ascaris lumbricoides — 학명(Scientific name)
회충, round worm — 속명(Common name)
Ascariasis — 회충증
4. 기생충의 감염현황
1) 세계 여러 나라 기생충 감염 형태
1위: 말라리아 (약 2억 7천만)
2위: 주혈흡충증 (약 2억)
3위: 회선사상충증 (약 9천만 ~ 1억)
4위: 파동편모충 (약 1700만 ~ 2000만)
2) 우리나라 기생충 감염 형태
1위: 간흡충
2위: 요충
3위: 회충
4위: 요꼬가와흡충
5. 기생충의 특이성
1) 기생 생활의 종류
Symbiosis(공생 생활): 서로 다른 두 생물이 생리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며, 삶을 위해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생활양식입니다.
공생생활: 상호 이익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지원하는 생활입니다.
기거생활: 숙주에게 해를 주지 않고, 기거의 편의만을 제공받는 생활입니다.
Predation(약탈):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을 탐식하거나 포식하는 생활 양식입니다.
Phoresis(영동):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의 단순한 보호 장소를 제공하고, 이동의 보조 역할을 합니다.
2) 기생충이 숙주에 미치는 영향
기생충의 종류, 숫자, 횟수, 기생부위, 기간, 숙주의 저항력 등에 따라 영향을 미칩니다.
Organic changes(기질적 변화): 기생충의 침입으로 인한 조직 파괴 현상이 발생합니다.
Functional changes(기능적 변화): 기생충의 분비물이나 독소에 의해 자극과 염증이 유발됩니다.
→ 이 두 가지 영향으로 인해 Parasitic disease가 유발됩니다.